1-1 | 이미지메이킹 21세기는 이미지의 시대로 좋은 이미지는 경쟁력으로 여겨진다. 본 교과목은 성별과 연령을 초월한 개인은 물론 기업과 국가에까지 그 대상이 확대되고 있는 이미지메이킹에 관한 내용을 살펴본다. |
1-2 | 테크닉워킹 다양한 룩과 소품에 맞추어 무대 위에서 개성 있게 표현할 수 있도록 패션 관련 이론 및 실습을 교육하며 퍼포먼스 워킹의 심화과정이다. |
프레젠테이션 본 강의는 프레젠테이션의 기초이론과 실무적으로 유용한 심화된 이론을 학습한다. 이에 프레젠테이션의 특성을 시작으로 하여 프레젠테이션의 기획, 내용구성, 시각화 방법, 발표 준비 방법 등에 대한 학습을 진행한다. |
2-1 | 이벤트기획론 본 강의를 통해 패션쇼와 같은 공연 이벤트 등의 다양한 이벤트의 유형에 대해 학습하며, 이벤트 분야의 기초 이론에 대한 학습을 진행한다. |
코디네이션기초 코디네이션이란 다양한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적절하게 조합하고 조정하여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코디네이션 감각을 패션과 모델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반드시 학습해야 할 중요한 목표이다. 이에 본 수업을 통해 코디네이션 요소와 원리에서부터 각 요소별 코디네이션 기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코디네이션 감각을 키울 수 있다. |
2-2 | 건강과다이어트 최근 비만, 암, 당뇨병, 순환계질환 등 만성질환 발병률이 증가되면서 현대인에게 건강은 행복한 삶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평소에 건강한 생활을 실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건강체중 관리는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운동 및 건강한 식생활 등 생활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본 강좌는 건강이론과 운동, 다이어트에 대한 기초 지식 및 실제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광고의이해 광고전략과 광고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지침이 될 원리들을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고 다양한 마케팅/광고 사례를 토대로 학습하고자 한다. |
3-1 | 미디어와PR 최근 디지털의 발달로 다양한 미디어가 등장하고 있으며, 현대인들은 이를 적극 활용하며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본강의를 통해서 미디어와 PR의 기초적인 개념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
워킹지도법 모델 워킹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강의를 통해 교육학관점에서 모델 캣 워킹테크닉의 실기교육에 이론적, 체계적인 교수법을 습득한다. 또한 교육자로서의 인성 훈련을 통하여 모델실기 지도자로서의 능력을 배양을 목표로 한다. |
패션화보기획 패션화보 기획과정과 화보별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패션화보에서의 모델 역할 수행을 위한 각 트렌드별 화보의 테마와 특징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여 이를 직접 설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문 모델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컨셉별 이미지 구현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과목은 실제 화보 이미지 자료들을 통해 전반적인 트렌드, 소재, 색상, 관련 문화들의 상징성을 알아보는 것이 특징이다. |
3-2 | 엔터테인먼트마케팅 이 수업은 모델이 엔터테이너로서 알아야 할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엔터테인먼트를 이용한 마케팅의 종류와 개요, 엔터테인먼트의 종류, 세계로 뻗어 나가는 한류 엔터테인먼트 등을 광범위하고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
패션쇼제작실습 기획과 연출을 비롯하여 패션쇼의 진행과정을 배울 수 있는 강좌이다. 본 강의를 통해 패션쇼 제작실습은 기획서 제작뿐만 아니라 모델 섭외, 피팅까지 배우고, 기초적으로 모델에 대한 기본을 학습한 재학생들이 앞으로 성공적인 패션쇼 제작에 대한 더 깊은 연구를 계속하며 연계학습에 발판이 되도록 진행하고 있다. |
4-1 | 모델매니지먼트 다양한 매니지먼트의 각 분야를 종합적으로 다루어 매니지먼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재고하여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교육과정이며, 모델을 전공하는 학습자를 위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모델 관리 시스템을 습득하고 모델 개개인의 특성과 모델분야 클라이언트들의 시장을 파악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교육과정이다. |
4-2 | 패션과저널리즘 패션과 저널리즘에 관련된 개념과 특징, 역사, 관련 직종을 중심으로 패션 산업과 트렌드 등 전반적인 패션 커뮤니케이션을 학습할 수 있다. 오늘날 변화되는 패션 저널리즘의 흐름을 살펴보고, 디지털 시대의 SNS 저널리즘과 패션 콘텐츠를 이해하여 저널리즘 글쓰기 방법을 터득한다. 이에 글로벌 패션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패션 저널리즘의 기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
패션인턴쉽 본 수업은 모델학과 전공자가 진출할 수 있는 분야를 학습한다. 이에 진로와 취업의 의미를 먼저 학습하는 것을 시작으로, 패션 의류 브랜드나 쇼핑몰을 창업할 시 알아야할 기초와 실무 이론과 시니어, 실버마케팅 전문가로 진출하기 위한 시니어 소비자 세대의 특성과 그에따른 마케팅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승무원, 배우, 비서, 바디트레이닝 전문가, H/M 전문가의 직업적 특성과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한 이론과 실무 내용을 학습한다. |
현장실습의이해 모델로서 활동하는 방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직업을 이론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강좌이다. 본 강좌는 오디션 성공 비법을 비롯하여 제작자, 연기자 등 다양한 직업에 대한 폭을 고민하고 더 깊은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